별은 제 운명이 다하기 전에 가장 밝게 타는 법이다.
정도전(조재현)은 평양부윤으로 가기 전 이색과 우현보를 깔끔하게 처리하고 가려고 한다. 명분은 창왕이었던 신창을 옹립하고, 위화도 회군과 현재 공양왕 옹립의 근거인 폐가입진을 부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왕을 찾아가 그들을 죽이라고 한다. 이젠 왕에게 명령을 하는 수준인 정도전이다.
더불어 이성계(유동근)가 화령에 첫째부인 장례를 치르러 간 사이에 혹시나 하는 염려에 배극렴에게 군사를 도성에 배치시키라는 철두철미함까지 보인다.
하지만 정몽주(임호)에게 허를 찔린다. 정몽주가 우현보에게 받은 자료에는 정도전의 어머니가 우연이라는 사람의 딸인데 이 우연이라는 사람이 노비출신이라는 것이다. 일천즉천. 부모 중 한명이 노비이면 자식도 노비이다. 정몽주는 정도전을 천출의 출신으로 국기를 문란한 간적 정도전을 잡으로 온 것이다.
이렇게하여 정도전은 국문을 받게 되고 고문을 받는다.
이때 이성계는 화령 집에 있는데, 첫째부인이 죽었기 때문이다. 이성계의 본처 안변 한씨는 이렇게 눈을 감았다.
상을 치루는 과정에서 정도전은 이성계에게 욕심을 버리라고 말한다. 바로 정도전과 정몽주를 동시에 취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성계는 자신이 원하는 것은 하늘에 해와 달이 동시 뜨는 그런 세상을 원한다고 말한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정몽주를 새나라에서 자신의 신하로 만들겠다는 의미.
그런 와중에 개경에서 급보가 올라온다. 정도전이 정몽주에게 당해 국문을 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성계 눈빛에 엄청난 분노가 이글거린다.
정도전은 모진 고문을 받으면서도 자신이 노비라는 거짓 자복을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수문하시중 정몽주를 만나게 해달라고 한다.
이때 정도전의 당여들은 왕과 대왕대비 안씨에게 사정을 해보지만 도와줄 마음과 의지가 없다.
감옥에 갇힌 정도전은 망연자실하다. 그리고 잠시후 정몽주가 찾아온다. 오늘 <정도전>의 하이라이트 장면이다.
이 장면에서 두 사람은 대의와 역성 대업에 대해 첨예하게 대립한다.
정몽주의 대의는 무슨 일이 있어도 고려의 사직을 지키면서 좋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원나라에 60년을 항쟁하면서 대장경을 만들고 본인을 뼈와 살을 만들어준 고려. 어찌 쉽게 버릴 수 있겠는가.
하지만 정도전은 이미 고려는 썩어빠질 때로 빠지고 더 이상 희망이 없는 나라라고 힘써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성리학과 민본이 중심이 된 이상국가를 세우는게 그의 꿈인 것이다. 이런 대업에 이성계 장군이 함께하고 있고, 정몽주를 집정대신으로 하는 그런 나라를 꿈꾼다. 그러면서 마지막으로 포은 자네를 기다리고 있겠다는 말을 남긴다.
사실상 정도전과 정몽주의 마지막 만남인 이 장면은 드라마 <정도전>이 한국 최고의 사극이 될 것임을 방증하는 최고의 장면이다.
결국 정도전은 봉화로 유배를 떠난다. 정몽주와 스승 이색의 배웅(?)을 받으며.
ㅇㅇㅇ
이성계는 개경에 도착해 공양왕을 알현하면서 겁박하여 말한다. 자신은 오랫동안 전장을 누려서 포로들의 표정만 봐도 진짜 두려워하는지 거짓인지 알 수 있다고. 그러면서 자시은 문하시중 자리에서 사직하겠노라고 말한다.
공양왕은 정몽주에게 도움을 청하며 해결책을 강구한다. 정몽주의 대답은 불윤비답. 지금 이성계는 사직을 핑계로 왕을 시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넘어간다면 사직이 위태로운 상황이 벌어질 것은 뻔한 일. 왕이 신하의 사직을 거절한다는 불윤비답을 내려 이성계를 막아야 한다. 군권을 쥐고 있는 상황에서 도성이 피바다가 될 수 있다.
정몽주는 왕의 불윤비답 조서를 가지고 이성계를 찾아간다. 이성계는 자신이 원하는 세상에 직접 용상에 앉아 좌우에 정몽주 이성계를 두는 게 꿈이라고 직접적으로 말한다. 대업과 역모 사이에 아슬아슬한 줄타기에서 본격적으로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낸 것이다. 그러면서 전쟁터에서도 적장하고 살정 피정이 생기는 데 40년 우정을 단칼에 베어난 정몽주를 비난한다.
난세인 지금 이성계 정도전 정몽주는 모두 괴물이 되었다. 학식이 높고 만백성에게 우러름을 받는 정몽주마저 괴물이 된 것이다.
이성계는 더 노골적으로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냐며 자신이 왕이 될 것임을 외친다. 그리고 정몽주에게 개경 도성을 피바다로 만들고 싶지 않으면 옥새를 자기 앞으로 가져오라고 한다. 엄청난 포스가 느껴지는 유동근의 이 연기.
이에 정몽주는 자신이 죽어 손목이 잘려 옥새를 쥐지 않는 한 자신이 가지고 올 수 있는 것은 왕의 불윤비답이라고 대답한다.
한편 화령에서 어머니의 3년상을 준비하고 있던 이방원(안재모)은 부인 민씨에 의견에 따라 개경 아버지 옆을 지켜드리고자 한다.
정몽주와의 설전 후 이지란 장군과 사냥에 나서지만 샤냥할 마음이 없다. 술만 주구장창 입에 털어 넣는다. 그리고는 도성을 뒤엎자고 한다. 이제 그의 마음 속에는 집정대신 정몽주는 없다. 그리고 술에 취한 상태에서 음주경마를 시작한다. 그리고는 얼마 못가 낙마를 하여 피를 토한다.
38회 예고.
이방원은 이러한 사태의 원인을 정몽주가 화근이라고 판단한다. 이성계의 사람들이 끌려가고, 이방원은 드디어 선죽교의 변을 준비한다. 정몽주만 죽이면 된다. 정몽주.....
'드라마이야기 > 정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도전 42회 다시보기] 이방석이 세자가 되는 과정 (0) | 2014.06.02 |
---|---|
[정도전 41회] 조선 개국과 왕자의 난 프롤로그 (0) | 2014.06.01 |
[정도전 40회] 중2병 걸린 이성계를 설득하라 (0) | 2014.05.26 |
[정도전 39회] 정몽주도 가고, 고려도 가다. (0) | 2014.05.25 |
[정도전 38회] 돈 꼴레오레 뺨치는 이방원의 아버지 사랑 (0) | 2014.05.19 |
[정도전 36회] "정몽주가 직접 옥새를 가져오도록 해" 다시보기 (0) | 2014.05.11 |
[정도전 35회] "정도전이 명나라로 간 틈을 노려라!!" (0) | 2014.05.11 |
[정도전 34회] 정몽주 손으로 고려 왕을 쫓아내다. 하지만 고려를 지키고 싶다. (0) | 2014.05.05 |
[정도전 33회] 역성혁명으로 가는 길 / 점점 괴물이 되어가는 정도전 / 34회 예고 (0) | 2014.05.04 |
[정도전 29회] 이인임을 등에 업은 조민수, 권력을 장악하는데... 그리고 완성되는 정도전-조준-남은 트리오 (0) | 2014.04.24 |